과거에는 인턴넷 연결이 안 되는 컴퓨터가 많았고, 연결이 되더라도 전화선이 연결된 모뎀을 사용했다.
이때 컴퓨터 네트워크 속도는 2 ~ 5Kbps(Kilo bits per seconds)로 매우 속도가 떨어졌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패키지(디스크 드라이버, CD-ROM) 게임은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거나 전화선을 통해
상대방과 1 대 1로 플레이 하는 방식이었습니다. 그런데 인터넷이 보급되면서 3명 이상 플레이가 가능한
패키지 게임이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플레이어 중 한명의 컴퓨터가 모든 플레이어의 게임 플레이 상태를
취합해서 유지하는 역할을 했는데 이를 서버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패키지 게임에서 서버는 게임 플레이를 하는 상태인 섹션(Session) 처리를 담당하는데 게임이 시작할 때
세션을 열고 게임이 끝날 때 세션을 제거하는 했다. 일부 패키지 게임에서는 렌더링과 사용자 입력 처리를
전혀 받지 않고, 순전히 클라이언트의 연결을 받는 세션 처리만 하는 프로그램이 따로 들어있기도 했다.
이를 데디케이티드 서버(Dedicated(전념하는) Server)라고 불리게 된다.
시간이 지나 온라인 게임으로 MUD(Multi User Dungeon)류의 게임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여러 사람이 동시에 던전에 들어가서 모험하는 방식의 게임으로 그래픽 화면을 보여주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없이, 텍스트 입출력만 받을 수 있는 콘솔(터미널)을 이용해서 게임을
즐겼다.
온라인 게임에서의 본격적인 게임 서버는 이때부터 시작됐다. 컴퓨터 네트워크 어딘가에 이러한
텍스트 입출력을 담당하는 서버 프로그램이 실행된 상태로 있으면, 여러 사람이 그 서버에 접속해서
텍스트로만 게임을 즐기는 방식으로 말이다. MUD 게임 서버는 게임 플레이어가 자유롭게 가져다
실행하는 것도 가능했지만, 일부 MUD 게임은 일반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고 게임 사업자만 독점적으로
게임 서버를 실행해 놓기도 하였다.
오늘날 현재 온라인 게임은 일반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고 게임 사업자만 독점적으로
게임 서버를 실행해 놓는 방식으로 오늘날의 '서버'라는 개념이 확립되게 된다.
-
- 게임 서버와 게임 클라이언트의 개념을 학습하고, 각각의 역할과 기능을 정확하지는 않더라도 자신이 좋아하는 게임을 바탕으로 설명해주세요.
승리의 여신 : 니케 게임은 현재 게임 서버를 바탕으로 UI간 전환 신호, 솔로 레이드 등수, 유니온 레이드 등수,
맵과 몬스터 등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고 있다. 클라이언트들은 이렇게 제공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UI 버튼
클릭, 맵 클리어 등을 다시 서버로 보내며 정보를 주고 받고 있다.
- 게임 서버와 게임 클라이언트의 개념을 학습하고, 각각의 역할과 기능을 정확하지는 않더라도 자신이 좋아하는 게임을 바탕으로 설명해주세요.
-
- 자신이 조사한 게임 서버의 역할/기능 중 가장 흥미롭다고 생각한 것이 무엇인지 설명해주세요.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하는 유저가 게임 내 전투 상황, 장면 등을 실시간으로 동기화 해주는 역할이
가장 흥미롭다고 생각 합니다.
- 자신이 조사한 게임 서버의 역할/기능 중 가장 흥미롭다고 생각한 것이 무엇인지 설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