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kagan-draca.tistory.com/191
문제 57. 모의고사 완전 탐색 (난이도 7)
one, two, three 배열의 요소가 answers 요소에 얼마나 부합 하는가를 보는 문제로먼저, answers.forEach((element, index)=>{})로 answers의 요소를 순회할 수 있게 만들었다. 그 후, one, two, three 배열의 요소와 e
kagan-draca.tistory.com
https://kagan-draca.tistory.com/192
문제 58. 소수 만들기(난이도 10)
nums.sort((a,b)=> a - b).forEach((element, index) =>{})로 nums에 있는 배열을 오름차순 정렬하고,forEach문으로 배열의 요소를 순회했다. forEach문 안에서는 for(let i = index + 1; i { for(let j = i + 1; j {
kagan-draca.tistory.com
https://kagan-draca.tistory.com/193
문제 59. 덧칠하기(난이도 10)(new Array 와 fill)
처음 문제를 보고check라는 배열을 만들어 색이 있는 부분은 true,색이 없는 부분은 false로 만들어줬다. 그 후, section의 요소 ~ 요소 + m까지 벽을 칠해나가도록코드를 작성했다. 그런데, 위와 같이
kagan-draca.tistory.com
https://kagan-draca.tistory.com/194
1-1 Challenge 최소 공약수와 최대 공배수
//문제1//두 자연수 a와 b가 주어질 때,이 둘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함수를 작성하시오.let leastCommonDivisor = (a, b) => { let temp = null; if (a b) { temp = b; b = a; a = temp; } do { temp = a % b;
kagan-draca.tistory.com
https://kagan-draca.tistory.com/195
1-2 Challenge [ 짝수 개수, 홀수 개수]
제출한 코드 : // 문제 2// 주어진 배열에서 짝수와 홀수의 개수를 각각 세는 함수를 작성하세요.// 함수는 [짝수 개수, 홀수 개수]의 배열을 반환해야 합니다./***제한사항:**- 배열의 길이는 1 이
kagan-draca.tistory.com
https://kagan-draca.tistory.com/196
1-3 Challenge 문자열 역순 배치 및 알파벳 하나씩 오른쪽으로 이동
let stringReverse = string => { return string .split("") .reverse() .map(element => { const Ask = element.toLowerCase().charCodeAt(); if (Ask >= 97 && Ask 122) return String.fromCharCode(((Ask - 97 + 1) % 26) + 9
kagan-draca.tistory.com
https://kagan-draca.tistory.com/197
1-4 Challenge 다양한 초밥 종류의 개수
let MaximumNumberOfSushi = array => { let max = 0; for (let i = 0; i array.length; i++) { let sushi = []; let count = 0; for (let j = i; j array.length; j++) { if (sushi.includes(array[j])) break; sushi.push(array[j]);
kagan-draca.tistory.com
https://kagan-draca.tistory.com/198
1-5 Challenge 자리 수 제거 후 가장 큰 수
// 문제 5// 양의 정수가 주어질 때,// 숫자에서 k개의 자릿수를 제거하여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수를 구하세요./***제한사항:**- **`number`**는 최대 1,000,000자리까지 입력될 수 있습니다.- **`k`**는 1 이
kagan-draca.tistory.com
오늘은 오랜만에 다시 JavaScript 문제를 풀어 보았다.
오랜만에 문제를 푸니깐 기존에 사용하던 모든 내장 함수 이름을 까먹었다 ㅎㅎ;;
그리고, 머리가 굳어서 그런지 문제를 푸는데 턱턱 막히는 부분이 많았다.
(
역시 꾸준히 푸는게 중요하다는 걸 느끼고
내장 함수를 다 외운다는 건 불가능한 것 같다 ㅎㅎ;;
)
사실 JavaScript 강의 복습도 해야하는데 문제를 푸는게
너무 재미있어서... 손을 놓지를 못 하겠다...
내일은 꼭 JavaScript 문제 풀기와
JavaScript 강의 중 this binding, 비동기 함수
내용을 꼭 들었으면 좋겠다...
(DB도 풀어야 하는데...)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8월 21일 TIL (0) | 2024.08.21 |
---|---|
2024년 8월 20일 (0) | 2024.08.20 |
2024년 8월 14일 TIL (0) | 2024.08.14 |
2024년 8월 13일 TIL (0) | 2024.08.13 |
2024년 8월 12일 TIL (0) | 2024.08.12 |